글의 강조를 위한 구의 배치


일반적으로 한 문장의 말미는 그 문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게됩니다. 또한 어떤 문장이 복문이라면 복문의 주절은 종속절에 비하여 훨씬 강조됩니다. 그런 연유로, 종종 작가들이 종속절을 주절보다 앞에 놓기도 하는데, 이런 방식을통해 주절의 내용이 다른것에 비해 두드러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관련 예제입니다.

구직자 두명모두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에 제대로된 비서를 구하기 어려운데 말이죠.
I believe both of these applicants are superb even though it's hard to find good secretaries nowadays.

요즘에 제대로된 비서 구하기가 어려움에도, 구직자 두명모두 훌륭하다고 생각 합니다.
Even though it's hard to find good secretaries nowadays, I believe both of these applicants are superb

__________________
poster1 원문대로 표기해야만 하는 영어예문은 변역과 함께 남겨두었습니다.
poster2  본 문서의 원본출처:

http://owl.english.purdue.edu/handouts/general/gl_emphasis.html
                                          (첨부파일과 동일합니다)
글의 강조를 위한 단어의 선택과 배열

글의 어떤부분을 강조하기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especially, par1-ticularly, crucially, most importantly, and above all 와 같은 단어들을 사용하여 그 단어의 다음에 오는 내용이 중요하다고 독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것입니다.

특정한 중요어구를 계속 반복시키는 방법역시 특별한 효과를 내는 강조법중에 하나입니다. 아래에 예가 나와 있습니다..

당신의 소중한 순간을 보실까요: 당신의 사진을 위한 정교한 마무리, 당신의 사진을 위한 즉각적인 플래시 작동, 당신의 사진을 위한 확대기술 적용.



이런식으로 같은 패턴을 반복하다가 어느순간 불쑥 다른단어로 대체해 버린다면 패턴과 대체물 모두 강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 예가 나와있습니다.

Murtz 렌트카는 고객의 신뢰를 높이고, 고객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대신, 고객의 불만은 낮추기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문법구조를 파괴하여 독자가 지금까지 알고있던 작문 구조를 뒤집어 놓는다면 그것또한 문장의 일부분을 강조하는데 충분히 효과적인 방법이 됩니다. 아래의 경우는 '주어-동사-목적어'로 구성되는 기본문장을 '목적어-주어-동사'의 순서로 도치시킨 경우인데 fifty dollars가 문장 앞쪽으로 뛰쳐 나옴으로서 강조가 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는 그 식당에서 밤에 단 두시간만 일하고 50달러를 벌 수 있었다.

I'd make fifty dollars in just two hours on a busy night at the restaurant.
Fifty dollars I'd make in just two hours on a busy night at the restaurant.



문장의 맨 처음이나 말미는 그 문장의 중간 어디쯤 보다는 훨씬더 강조되게 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 의미로, 복문에서 주절은 종속절에 비해 더 강한 의미를 지니게 됩니다. 만약 여러분이 어떤 단어를 강조하고 싶으시다면 문장의 처음이나 끝부분에 가깝도록 단어를 배치하셔야 하며 절대로 종속절에 중요한 내용을 묻어놓는 과오를 범하지 말아야 할것입니다. 다음의 예를 보실까요.

컴퓨터가 비지니스 세계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는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No one can deny that the computer has had a great effect upon the business world.
Undeniably, the effect of the computer upon the business world has been great.

첫번째 문장에서는 "No one can deny"와 "on the business world"가 문장의 강조위치에 사용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작가는 중요한 생각(컴퓨터가 심대한 영향을 끼친것)을 종속절 안에 묻어 놓고 말았습니다:"that the computer has had a great effect." 반면에 두번째 문장에서는 중요한 생각이 주절로 이동했으며, 문장의 처음과 말미가 좀더 매력적인 구절로 바뀌었습니다.

__________________
poster1 원문대로 표기해야만 하는 영어예문은 변역과 함께 남겨두었습니다.
poster2  본 문서의 원본출처:
http://owl.english.purdue.edu/handouts/general/gl_emphasis.html
                                          (첨부파일과 동일합니다)


글의 강조를 위한 구두점 사용

몇몇의 구두점들은 독자들로 하여금 일반적인 강조법보다 단어나 문장에 훨씬 신속하고 강렬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일례로, 느낌표를 사용하는것이 단순히 마침표만을 쓰는것보다는 훨씬 강렬한 인상을 남기게 됩니다.
조심하세요!


대쉬(-)나 콜론(:)은 단순히 쉼표를 사용하는것보다는 더욱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종업원들은, 회사가 방침을 바꾸지 않기로 결정을 내리자 경악했습니다.

The employees were surprised by the decision, which was not to change company policy.
The employees were surprised by the decision--no change in company policy.
The employees were surprised by the decision: no change in company policy.

__________________
poster1 둘째 단락의 영어예문은 한글로 적절히 번역할 수 없어 원문대로 표기했습니다.
poster2  본 문서의 원본출처:
http://owl.english.purdue.edu/handouts/general/gl_emphasis.html
                                          (첨부파일과 동일합니다)
글의 강조를 위한 시각적 도구

그 옛날.. 지금처럼 컴퓨터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해 문서를 작성하고 출력하는것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인쇄와 출판을 담당하는 전문 인쇄소에 원고(타자기로 친 원고를 포함하겠지만..)를 보내는 것으로 출판 작업이 시작됩니다. 그때는 작가가 뭔가를 강조를 하고 싶을때나  책제목을 돋보이게 하고 싶거나나 외래어 단어나 구를 사용한다고 나타내 주기를 원할때는 타자원고에 밑줄을 그어 식자공에게 보냈는데 그러면 식자공은 그것이 강조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고 그런 단어에 특별히 이탤릭체를 써서 문서를 출판 하였습니다.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여전히 오늘날에도 어떤 단어나 구를 강조하는데 밑줄이나 이탤릭체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Flahery 는 버클리에 없는 새로운 위원회 의장직 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사항이어서 절대 실패하면 안됩니다.

작가들이 컴퓨터로 글을쓰기 시작하면서 부터 다양한 글자체나 효과들을 사용할 수 있게되었고, 밑줄을 긋는것 만으로 강조를 표현하던 시절은 지나간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특히 대학 내에서는) 이탤릭체를 사용한다던지 밑줄을 긋는것으로 글을 강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작가가 개인적인 수필등에는 자신의 방법을 선택해 사용하고 있으나 어떤 글이나 책이 최종적으로 찍어져 나올때면 이탤릭체가 빈번하게 사용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학내에서 강연을 하는 사람이나 학생들은 대학논문(또는 레포트등)을 쓸때 어떤식으로 강조를 해야하는지 배우게 되는데, 이때 글자체나 크기 또는 굵기를 자주 바꾼다던지 대문자만 사용한다던지 하는식의 수많은 강조법은 기피의 대상이 됩니다. 아무래도 그런식으로 글을쓰는 사람은 겉만 번지르르한 사람처럼 보이기 쉽기 때문이죠.

'굵게'는 대학외적으로 특히 많이쓰이는 강조법입니다. 이것은 강조를 나타낸다던지 목록에 중점을 두고싶을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아래의 예를 보시죠.

TV에서 방영한 미국가정의 재정현실은 현실과 동떨어져 보입니다.

다음의 세가지 주제에 대해서 다루게 될 것입니다.

주제 1 : 주제1에 대한 설명
주제 2 : 주제2에 대한 설명
주제 3 : 주제3에 대한 설명

어떤 작가들은 강조를위해서 대문자를 몽땅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쓰는것은 효과도 없을뿐더러 글을 난장판이나 소리치는것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E-mail전체를 대문자로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보낸이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받는 입장에서보면 보낸이가 따지고 든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만들고 절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__________________

poster1  본 문서의 원본출처:
http://owl.english.purdue.edu/handouts/general/gl_emphasis.html
                                          (첨부파일과 동일합니다)


여러분이 글을 쓰기로 한 이상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내는 것으로부터 글쓰기를 시작하게 됩니다. 여러분이 대답한 질문이야말로 여러분 스스로를 주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고 여러분이 선택한 주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초석이 됩니다. 아래의 20가지 질문은 '생각의 시작'이라고 하는데, 이것들은 여러분의 주제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것이나 생각해야 할만한 것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각각의 문항옆 괄호안에 있는 내용들은 각각의 질문들이 글쓰기(특히 수필)에서 어떠한 영역을 나타내 주는지 표시해 주고 있습니다.


1. ______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정          의)

2. ______의 다양한 특징은 무엇인가요?                       (설          명)

3. ______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는 어떤것이 있나요?   (간단한 분석)

4. ______은 어떻게 만들어지거나 실행되어질수 있나요? (과정의 분석)

5. ______은 어떻게 만들어지거나 실행되져야 하나요?    (지향점 분석)

6. ______의 중요한 기능은 무엇인가요?                       (기능의 분석)

7. ______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인과의 분석)

8. ______의 결과는 무엇인가요?                                 (인과의 분석)

9. ______의 대표적인 형태는 무엇인가요?                    (분          류)

10. ______는 OOO와 어떻게 같거나 다른가요?             (비          교)

11. ______의 현재 상태는 어떻습니까?                         (비          교)

12. ______의 의의는 무엇인가요?                                (해          석)

13. ______에 관한 사실은 무엇이 있나요?                     (보          고)

14. ______은 어떻게 발생하나요?                                (서          술)

15. ______한 종류의 사람은 어떠한가요?                      (인물과 성격)

16. ______에 관한 내 개인적인 감응은 어땠나요?           (반          응)

17. ______에 관해 내가 기억하는것은 무엇인가요?         (회          상)

18. ______의 가치는 무엇인가요?                                (평          가)

19. ______의 주요한 점이나 특징은 무엇인가요?            (요          약)

20. ______에 반대되는 사례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설득과 신념)

(위의 20가지 질문은 Jacqueline Berke's 의 작가를 위한 20가지 질문을 정리한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

poster1  본 문서의 원본출처:
http://owl.english.purdue.edu/handouts/general/gl_plan3.html
                                          (첨부파일과 동일합니다)

우리는 글을쓰기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르게 됩니다.

1. 주장하고 싶은바를 생각합니다.
2. 개요를 작성하구요
3. 최초로 글을쓴후에
4. 교정을 통해 반짝반짝하게 광을 냅니다.

... 하지만 실제로 저렇게만 되는것은 아닙니다.

글쓰기가 공식처럼 잘 안되신다면 다음의 전략을 사용해 보는것은 어떨까요?



여러분이 선택한 주제에 대해 어떤말을 하고싶은건지 자문해 봅시다.

어떤 주제에 관해서도 수많은 이야깃거리가 있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말하고자 하는 범위를 좀 줄여보는것은 어떻겠습니까? 예를들어 "기숙사 음식"에 대해서 얘기한다고 칩시다. 당신이 그런 주제를 고른이상 당신의 잠재적인 독자들도 당신과 같은 질문 -그래서 어쨌다는건데? - 을 던지게 될것입니다  . 왜 여러분이 기숙사 음식에 대해서 쓰기로 했나요?  왜 다른사람들이 당신의 글을 읽어야만 하는 건가요?

여러분은 그안에서 말도안되는 음식을 먹어야만 하는것에 다른사람의 동정을 원하는 건가요?

여러분이 대량급식의 문제점에 대해 알려주기를 원하는겁니까?

이도저도 아니면 A학교 기숙사와 B학교 기숙사에서 나오는 음식이 어떻게 다른지를 말하기 원하는 건가요?



여러분이 글로서 원하는 바를 어떻게 얻어낼지 자문해 봅시다.

예를들어 봅시다. 만약 여러분이 '나의 일생에서 가장 감명깊었던 영화'에 대해서 설명해야 한다고 하겠습니다. 과연 어떻게 여러분은 그것을 해낼 수 있을까요? 그걸 표현하기 위해서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을 개발하시겠습니까? 아니면 그냥 영화가 무척 좋았다고 말하고 끝내시겠습니까?



아이디어를 분출해 봅시다.

좋고 나쁨에 상관없이 수많은 아이디어와 제안, 예시들, 문장들, 실패했던 순간들등등.. 모든 생각들을 최대한도로 끌어 모읍니다. 친구들한테 도움도 좀 받으시구요. 이렇게 쓸데없는 생각도 괜찮을까 하고 고민하지 마시고 일단 생각나는대로 적어놓으십시오. 아이디어가 샘솟을때 항상 기록할 수 있도록 준비도 하시구요.

당신얘기를 들어줄만한 사람에게말도 해보고, 여의치 않으면 혼자서라도 누군가와 인터뷰를 한다고 생각하세요. (물론 여러분에게 주제에 대한 영감을 줄수있는 그 누군가와 함께한다면 가장 좋겠지만요.) 다른사람은 당신의 주제에 대해 어떤것을 물어보던가요? 아마 질문에 대답하는동안 여러분은 누군가를 가르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으실 것입니다.

당신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열어젓힐 신선한 비유를 찾아 보세요. '~와 같이'라는 말을 이용해 당신의 비유를 표현해 보는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예로, 만약 여러분이 TV프로그램의 폭력성에 대해서 말하고 싶으시다면 축제때 무술시범을 예로 들어보는것은 어떨까요.(물론 무술시범때 누가 다치거나 하는건 아니지많요.)



이제 좀 쉬면서 생각을 가다듬어 봅시다.


정리가 어느정도 끝났으면 요약을 해 봅시다.

세네가지 정도로 정리한 내용을 다른사람에게 말해 보세요



여러분의 방식으로(어떻게든지) 주요사항을 도식화 해봅시다

여러분이 가진 아이디어를 한눈에 볼수있도록 도와주는 어떤종류의 그림이라도(나무그림, 선으로 연결하기 등등..) 상관없습니다. 이렇게 그림으로 그리고 나면 몇군데 더 채워넣어야 할 부분이 보이게 될테니까요.



이제 초안을 작성해 봅시다.

초안을 작성한 다음에는 일단 멀리 던져 놓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고 난 뒤에 다른사람이 쓴 글을 바라 보는것처럼 당신의 글을 바라 보세요. 읽으실때는 좀더 명료하게 표현해야 할 부분이나 뭔가 정보를 더 추가해야 할 부분이 있을지 모르니 그점을 특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쭉 검토가 끝나면 지금까지 설명한 전략의 어느부분으로 돌아가야 할지 알고있을 겁니다.


여러분이 이제는 다른것보다 좀더 멋지게 쓰고 있거나 여러가지 전략을 동시에 적용하신다면

그렇습니다 잘하고 계신겁니다!


 
__________________

poster1  본 문서의 원본출처:
http://owl.english.purdue.edu/handouts/general/gl_plan2.html
                                           (첨부파일과 동일합니다)


작가는 놀라운 사람이다... 그는 종이에 써있는걸 보기 전까지는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모른다.
- Thomas Williams

당신이 글을 쓰려고 앉았을때
- 머리속이 하얗게 되버리지 않습니까?
- 갑자기 할말이 없어져 버리지 않습니까?

만약 그렇다면, 그것은 당신만이 겪는 문제가 아닙니다!! 모든 사람들이 언젠가는 이런 경험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몇몇은 이런 상태에서 벗어나는 전략과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신이 영어 작문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다음에 나오는 제안을 따라해 보는것은 어떨까요.

문제의 탐색 - 주제를 생각하기 전에..
1. 당신의 독자는 누구입니까?
2. 당신이 글을쓰는 이유는요?
3. 그나저나 대체 당신은 누구입니까, 혹시 작가인가요?(어떤 그림이나 캐릭터를 계획하고 계십니까?)

목표를 설정하기
1. 당신이 의도한 바를 어떻게 얻어낼 것인가요?
2. 목표에 대한 계획은 있으십니까?

아이디어 생성
1. Brainstorm
    - 일단 생각나는대로 써봅니다.
    - 좋은아이디어와 나쁜아이디어를 평가하지 않습니다.
    - 문제로 다시 돌아 갑니다.

2. 당신의 독자와 얘기해 봅니다
    - 그들은 어떤 질문을 해올까요?
    - 당신이 target으로 삼은 독자 이외에 어떤 독자가 당신의 글을 읽을까요?

3. 스스로에게 질문해 봅니다.
    1) 육하원칙에 따라서 질문해 봅시다
         - 누가? 무엇을? 어디서? 언제? 왜? 어떻게? 그래서 어떻게 됐는데?

   
2) 정형화된 주제들(논제의 패턴들)
         (1) 정  의
             - ______의 사전적 정의는 무엇인가?
             - ______을 나는 어떻게 생각 하는가?
             - ______은 어떤그룹에 속하는가?
             - ______은 다른것들과는 어떻게 다른가?
             - ______은 어떤 파트들로 나뉘어 질 수 있는가?
             - ______이 요 몇년사이에 의미가 달라졌다면 그 이유는?
             - ______을 나타내기위해 어떤 다른 단어를 쓸 수 있는가?
             - ______을 표현하기위해 어떤 구체적인 예를 사용할 수 있는가?
             - ______이 잘못 이해될때는 언제인가?

         (2) 비교/대조
             - ______은 어떤것과 어떤식으로 비슷합니까?
             - ______은 어떤것과 어떤식으로 다릅니까?
             - ______은 다른것보다 좋습니까(또는 나쁩니까)? 어째서 그렇습니까?
             - ______은 어떤것과 닮았습니까(또는 닮지 않았습니까)?

         (3) 연관성
             - ______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 ______의 결과는 무엇입니까?
             - ______의 용도(목적)은 무엇입니까?
             - ______의 전/후에 올만한것은 무엇입니까?

         (4) 증언하기
             - ______을 사람들이 어떻다고 말하는것을 들었습니까?
             - ______에 관해서 사실이나 통계로 뒷받침 될만한게 있습니까?
             - ______에 관해서 격언이나 시구 또는 속담등에서 인용할만한게 있습니까?
             - ______에 관한 법률(또는 관례및 풍습)등이 있습니까?

         (5) 부대상황
             -_______은 가능한겁니까 아니면 불가능한 것입니까?
             -_______을 어떤 특성이나 조건 또는 주위환경이 가능하게 만듭니까?
             -_______은 그 전에 언제 발생하였습니까?
             -_______을 누가 할 수 있습니까?
             -_______이 시작된다면 그 끝은 어떻습니까?
             -_______이 발생하는것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3) 문법소론*

         (1) 반대되는면
             - ______은 그것과 비슷한 다른 것들과 어떻게 차이가 있습니까?
             - ______이 나에게 어떤점에서 다릅니까?

        (2) 변화(변이)
             -______은 얼마나 많이 변화할수 있습니까? 그리고 아직도 그대로 있나요?
             -______은 어떻게 변화할 수 있습니까?
             -______은 날마다 얼마나 많이 변하게 됩니까?
             -______의 다른종은 어떤것이 있습니까?

          (3) 분류
             -______은 언제, 그리고 어디에 위치하게 됩니까?
             -______이 부분으로 나뉘어 지면 가장 큰 조각은 무엇이 됩니까?
             -______의 큰 틀 안에서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4) 6개의 시각

         (1) 원하는걸 "설명"합니다(색, 모양, 크기등)
         (2) 원하는걸 "비교"합니다(어떤것과 비슷한가?)
         (3) 원하는걸 "연상"합니다(당신은 그것에 대해 어떤생각을 가지고 있나요?)
         (4) 원하는걸 "분석"합니다(그것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말해봅니다)
         (5) 원하는걸 "적용"합니다(그것으로 뭘할수 있나요? 그걸 어떻게 사용하나요?)
         (6) 원하는것과 반대되는것에 대해 "논쟁"해 봅니다



자 이제좀 쉬면서 생각을 가다듬도록 합시다!!


 
__________________

poster1  문법소론               : K.L.Pike등이 제창한 언어 이론
poster2  본 문서의 원본출처 :
http://owl.english.purdue.edu/handouts/general/gl_plan1.html
                                           (첨부파일과 동일합니다)
BLOG main image
by moon_river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32)
작문일반 (14)
영어문법 (8)
영어일기 (4)
연습문제 (5)
Misc. (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
Today : Yesterday :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블로그의 모든 포스트는
저작자표시 - 동일조건변경